티스토리 뷰

경제

기준금리와 채권 그리고 주식

Somaz-Economy 2024. 5. 13. 15:33
반응형

Overview

기준금리가 내려갈때 채권의 가격은 올라간다. 왜 그럴까?

 

즉 금리와 채권의 가격은 반비례한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금리가 높아지면, 이자율이 올라 채권의 가격도 높아져야 하지 않을까?

 

채권의 기준금리와 채권 관계에 대해서 알아본다.

 


채권이란?

채권은 정부, 기업, 공공기관 등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로부터 일정 금액을 빌리고 이를 일정 기간 후 이자와 함께 상환할 것을 약속하는 증서이다.


간단히 말해, 채권은 빌려준 돈에 대한 차용증 역할을 한다.

 

채권의 특징

  • 원금 상환 보장: 만기일에 채권 발행자가 원금(액면가)을 상환해준다.
  • 이자 지급: 채권 발행자는 투자자에게 이자를 지급하며, 이자 지급 방식은 고정이율 또는 변동이율 등 다양한 형태로 나뉜다.
  • 우선 상환: 채권은 기업의 주식보다 상환 순위가 높아서, 파산 시 주주보다 먼저 변제받을 수 있다.

 

채권의 종류

  1. 발행 주체에 따른 분류
    • 국채: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
      • 예시: 미국 국채(Treasury Bonds), 한국 국채
    • 지방채: 지방정부가 발행하는 채권
    • 회사채: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 예시: 일반 회사채,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2. 이자 지급 방식에 따른 분류
    • 고정금리 채권: 일정한 이자율로 이자를 지급
    • 변동금리 채권: 이자율이 정기적으로 시장 금리와 연동되어 변동
    • 제로 쿠폰 채권: 이자 지급이 없이 액면가보다 낮은 가격에 발행되어 만기에 액면가로 상환
  3. 상환 방식에 따른 분류
    • 만기일시상환채: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일시 상환
    • 분할상환채: 일정 기간 동안 원금을 분할 상환
  4. 기타 특수 채권
    • 전환사채(CB): 일정 기간 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채권
    • 신주인수권부사채(BW): 일정 기간 후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채권
    • 옵션부 채권: 발행자나 투자자에게 특정 조건에서 상환이나 매도/매수 옵션을 부여한 채권

 

채권과 주식의 차이점

  채권 주식
발행기관 정부, 지자체, 주식회사, 특수법인 주식회사
소유자의 지위 채권자 (경영권 없음) 주주 (경영권 있음)
이익 배당 방식 이익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원금 및 이자 지급 이익 발생 시 배당금 지급
만기 만기 있음(1, 3, 10년 다양) 만기 없음
수익 구조 이자: 고정 또는 변동 이자를 약속된 시점에 받음 배당금 및 주가 상승: 배당금과 주가 상승으로 인한 자본 이익
리스크 낮음: 이자 및 원금 상환이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발행자의 신용 위험에 노출됨 높음: 배당 및 주가 상승에 의한 수익이 불확실하고 기업 성과에 따라 손실 가능
변동성 낮음: 시장 금리 변동에 따라 가격이 변동되지만 주식보다는 안정적 높음: 시장 및 기업 상황에 따라 주가가 크게 변동됨
투자자 성격 안정성 추구형: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성장성 추구형: 높은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권리 이자 지급 청구권: 이자 및 원금 지급 청구권이 있음 주주 권리: 의결권, 배당금 청구권 등이 있음

종류 다양함: 국채, 지방채, 회사채,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다양함: 보통주, 우선주 등
세금 이자 소득세: 이자 소득에 대한 소득세 부과 양도소득세/배당소득세: 주식 매각 시 양도소득세, 배당 시 배당소득세 부과

 

 

채권과 금리의 관계

 

채권 가격은 금리와 역의 상관관계가 있다. 즉,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은 상승한다.

 

 

상관관계 이유

  1. 기존 채권의 수익률 변화
    • 시장 금리가 상승하면, 새로운 채권의 수익률도 높아진다.
    • 기존에 발행된 낮은 이자율의 채권은 경쟁력이 떨어져 가격이 하락한다.
    • 반대로, 시장 금리가 하락하면 새로운 채권의 수익률이 낮아져 기존 채권의 가격이 상승한다.
  2. 채권의 듀레이션
    • 듀레이션은 금리 변동에 대한 채권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낸다.
    • 듀레이션이 길수록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 변동폭이 커진다.

듀레이션 이란?

듀레이션(duration)은 '지속되는 기간'이라는 의미를 가진 영어 단어이다. 듀레이션이란, 채권 투자에서 자금이 회수되는 평균만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채권에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기간이다.

 

 

예시를 통한 설명

 

예시 1: 금리 상승

  • 조건: 액면가 100만 원, 쿠폰 이율 5%, 만기 10년인 채권이 있다.
  • 현재 상황: 이 채권은 매년 5만 원의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 시 100만 원을 상환한다.
  • 금리 상승 상황: 시장 금리가 7%로 상승했다.

채권 가격 계산

  • 현재 시장 금리(할인율)가 7%일 때, 이 채권의 가격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결과

  • 시장 금리 7%에서 이 채권의 현재 가격은 85.47만 원으로 하락했다.
  • 이는 100만 원 액면가에서 약 14.5%의 손실이다.

 

 

예시 2: 금리 하락

  • 조건: 액면가 100만 원, 쿠폰 이율 5%, 만기 10년인 채권이 있다.
  • 현재 상황: 이 채권은 매년 5만 원의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 시 100만 원을 상환한다.
  • 금리 하락 상황: 시장 금리가 3%로 하락했다.

채권 가격 계산

  • 현재 시장 금리(할인율)가 3%일 때, 이 채권의 가격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결과

  • 시장 금리 3%에서 이 채권의 현재 가격은 116.83만 원으로 상승했다.
  • 이는 100만 원 액면가에서 약 16.8%의 이익이다.

 

요약

  • 금리 상승: 채권 가격 하락
    • 기존 채권의 이자 수익률이 경쟁력을 잃기 때문
  • 금리 하락: 채권 가격 상승
    • 기존 채권의 이자 수익률이 매력적이 되기 때문

 

 

 


Reference

https://www.tossbank.com/articles/bonds-and-base-rates

https://www.quarterback.co.kr/post/article-pension-0202/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1670

https://brunch.co.kr/@money-economy/61

반응형
글 보관함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