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Overview
경제 원리를 알면 단순한 숫자와 그래프 너머에 있는 실제 세상의 흐름을 읽을 수 있다. 시장의 작동 방식부터 개인 금융 관리까지 경제 개념은 우리 삶 곳곳에 영향을 미친다. 이번 시간에는 꼭 알아야 할 경제 용어들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본다.
1. 균형가격 (Equilibrium Price)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가격으로, 시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이다.
2. 한계효용 (Marginal Utility)
추가적으로 소비하는 한 단위의 상품이나 서비스에서 얻는 추가적인 만족도 또는 효용을 의미한다.
3. 필립스 곡선 (Phillips Curve)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간의 역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실업률이 낮아지면 인플레이션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4. 고용률 (Employment Rate)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제로 고용된 사람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5. 자연실업률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경제가 장기적으로 균형을 이룰 때 존재하는 실업률로,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이 포함된다.
6. 가격탄력성 (Price Elasticity of Demand, PED)
가격 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수요가 가격 변화에 많이 반응하면 ‘탄력적’, 반응이 적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7. 조세 부담 (Tax Burden)
개인이나 기업이 납부해야 하는 세금의 크기를 의미하며, 조세 부담이 증가하면 소비 및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
8. 외부효과 (Externality)
경제활동이 시장 외부의 제3자에게 미치는 영향으로, 긍정적인 외부효과(예: 교육)와 부정적인 외부효과(예: 공해)가 있다.
9. 총수요와 총공급 (Aggregate Demand & Aggregate Supply)
- 총수요(Aggregate Demand, AD): 경제 전체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총수요
- 총공급(Aggregate Supply, AS): 경제 전체의 재화와 서비스의 총공급
10. 스필오버 효과 (Spillover Effect)
특정 경제활동이 다른 경제 영역으로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글로벌 경제에서는 한 국가의 경기 변화가 다른 국가로 확산되는 경우가 많다.
11. 승수 효과 (Multiplier Effect)
정부 지출 또는 투자 증가가 여러 차례 파급되어 경제 전체의 총수요를 증폭시키는 효과를 말한다.
12. 독점과 과점 (Monopoly & Oligopoly)
- 독점(Monopoly): 한 개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상태
- 과점(Oligopoly):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상태
Reference
Google Search , Naver Search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DSR 3단계 올해 7월 시행…부동산 시장 대출 규제 및 세제 개편이 변수 (0) | 2025.03.18 |
---|---|
'투자의 달인' 버핏, 일본 종합상사 주식을 늘린 이유 (1) | 2025.03.18 |
금값 급등! 주식 대신 금 투자에 관심 집중 (4) | 2025.03.17 |
토허제 해제 후 한 달, 서울 아파트 시장의 변화와 전망 (0) | 2025.03.13 |
상속세 개편안: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로 전환, 무엇이 달라지나? (0) | 2025.03.13 |